나를 사랑하는 방법의 하나
자기효능감은 자신이 능력있고 효과적이라는 느낌을 말한다. 이는 자신이 가치있다고 느끼는 자긍심과 조금은 차이점을 보인다. 예를 들어, 군대의 저격수는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이지만 자긍심은 낮다.
스탠퍼드대학교 심리학자인 Bandura는 그의 연구에서 긍정적 사고의 힘을 포착하고 자기효능감에 대해 이론화하였다. 그는 우리로 하여금 자신의 능력과 효과를 믿는 것은 이득이 된다고 했다. 강한 자기효능감을 지닌 청소년과 성인들은 더 끈기가 있고, 덜 불안하거나 덜 우울하였다. 그들은 또한 더 건강한 삶을 살고 학업적으로도 더 성공적이었다.
매일의 삶에서 자기효능감은 어려운 목표를 설정하고 견딜 수 있도록 한다. 100개 이상의 많은 연구에 따르면, 자기효능감이 노동자들의 생산성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1개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대학에서 학생의 GPA를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강한 자기효능감은 사람들이 자신의 부적절함을 곱씹기보다는 조용히 생각하며 해결책을 찾도록 한다. 성취란 유능함과 끈기를 합한 것이다. 그리고 성취와 함께 자기확신이 자란다. 자긍심과 같이 자기효능감도 어렵게 얻어진 성취화 함께 자라는 것이다.
자아효능감과 자긍심은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개념이다. 만약 당신이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그것은 자아 효능감이다. 만약 당신이 전반적으로 자기 자신을 좋아한다면 그것은 자긍심이다. 어린시절 부모님에게 당신은 "너는 특별하다(자긍심 제고)"혹은 "나는 네가 그것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자아효능감 제고)"와 같은 말을 해서 자신의 용기를 북돋으려 했을 것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자기효능감에 대한 피드백("너는 정말 열심히 했구나")이 자긍심을 높이려는 피드백("너 정말 똑똑하구나")보다 더 높은 성과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똑똑하다는 평가를 받은 아이들은 다시 시도하는 것을 두려워했다. 다시 시도했을 때 똑똑해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력에 대해 칭찬받은 아이들은 다시 하더라도 더 열심히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만약 누군가를 격려한다면 그들의 자긍심보다는 자기효능감에 맞춰 말해주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요컨대, 자긍심의 본질과 동기적 힘은 무엇인가?
자긍심은 우리의 특성과 능력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전반적으로 자신에 대해 가치있다고 보는 것이다. 자기개념은 우리의 역할, 우리가 하는 비교, 사회적 정체성, 우리를 평가하는 다른 사람을 어떻게 지각하는지, 그리고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포함하는 다양한 영향 요인들에 의해 결정된다.
자긍심의 동기는 우리의 인지 처리에 영향을 미치곤 한다. 실패에 대응함에 있어 높은 자긍심을 가진 사람은 다른 사람 역시 실패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타인보다 자신이 우수하다는 것을 과장함으로써 자기가치를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자긍심이 높은 것이 낮은 것보다 더 유익하다 할지라도 연구자들은 자긍심과 나르시시즘이 높은 사람들이 가장 공격적임을 발견했다. 사회적 배제에 의해 위협받거나 위축된 큰 자아를 가진 사람은 잠재적으로 공격적이기 마련이다.
반면, 자기효능감은 자신이 효과적이고 능력이 있기에 무언가를 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이는 높은 자긍심과 달리 무언가를 일관성 있게 성공케 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